여러분이 사용하고 계신 브라우저는 HTML5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몇몇 요소가 제대로 보이도록 JScript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의 브라우저 설정에서 스크립트 기능이 꺼져있으므로, 현재 페이지를 제대로 확인하시려면 스크립트 기능을 켜주셔야 합니다. ASRock X870 보드 문제 심각, 9800X3D 연속 파손 사례 급증

ASRock X870 보드 문제 심각, 9800X3D 연속 파손 사례 급증

3일전 작성

ASRock 메인보드 Ryzen 9800X3D 손상 사고 분석

ASRock 메인보드에서 Ryzen 9800X3D가 두 번 연속으로 손상되는 사례가 또다시 보고되면서 하드웨어 커뮤니티에 충격을 주고 있다. 한 사용자가 같은 ASRock X870 RS Pro WiFi 메인보드에서 AMD Ryzen 7 9800X3D를 두 번이나 태워먹는 불운을 겪었으며, 이는 지난달 보고된 유사 사례에 이어 두 번째 발생이다. ASRock 800 시리즈 메인보드와 Ryzen 9000 프로세서 간의 호환성 문제가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주는 이번 사건의 전말과 원인을 자세히 살펴보자.

목차

사건 경위

Reddit 사용자 u/ShendonZ는 올해 상반기에 Ryzen 7 9800X3D와 ASRock X870 RS Pro WiFi 메인보드를 구매했다. 초기에는 정상적으로 작동했지만 약 2개월 반 사용 후 첫 번째 CPU가 손상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AMD의 RMA 프로세스를 통해 새 CPU를 받았지만, 같은 메인보드에 장착한 두 번째 CPU 역시 동일한 기간 사용 후 같은 방식으로 손상되었다.

사용자는 메인보드를 교체하지 않은 것을 크게 후회하고 있으며, 현재 작동하는 CPU 없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다. 흥미롭게도 이 사용자는 ASRock이 권장한 BIOS 버전 3.25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 버전은 5월에 출시되어 PBO 관련 근본 원인을 수정했다고 주장된 펌웨어였다. 그러나 최신 BIOS임에도 불구하고 CPU 손상을 막지 못했다.

더욱 안타까운 점은 사용자가 BIOS 3.30이나 3.40으로 업데이트하지 않았다는 것인데, 이는 새로운 BIOS 버전들에서도 문제가 보고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ASRock 메인보드의 문제가 단순히 펌웨어 업데이트로 해결될 수 있는 수준이 아님을 시사한다.

메인보드 문제

ASRock 메인보드와 Ryzen 9800X3D의 호환성 문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특히 ASRock 800 시리즈 메인보드들은 Ryzen 9000 프로세서를 손상시키는 사례가 반복적으로 보고되면서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Murderboards”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까지 얻었다. 같은 메인보드에서 CPU가 두 번 손상되는 사례는 지난달에도 보고되었으며, 이번이 두 번째 확인된 사례다.

문제의 심각성은 몇 달이 지났음에도 근본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ASRock뿐만 아니라 독립적인 리뷰어들도 이 문제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하드웨어 분석 전문가인 Gamers Nexus의 Steve Burke는 현재 모든 보고 사례와 증거들을 수집하고 있으며, 이번 사용자의 손상된 CPU 2개와 메인보드를 직접 구매해 분석하겠다고 밝혔다.

ASRock은 자사 메인보드에 문제가 없으며 최신 BIOS 버전으로 이슈를 해결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며, 실제로 ASRock 메인보드는 현재까지도 Ryzen 9800X3D CPU 손상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어 이러한 주장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

💡 ASRock 메인보드 주의사항:
• ASRock 800 시리즈에서 반복적인 CPU 손상 보고
• BIOS 업데이트로도 문제 해결 안 됨
• 같은 메인보드에서 교체 CPU도 손상되는 패턴
• 근본 원인 아직 미확인 상태

BIOS 대응

ASRock은 문제 해결을 위해 여러 차례 BIOS 업데이트를 배포했다. BIOS 버전 3.25는 메모리 호환성과 시스템 안정성 개선을 목표로 5월에 출시되었으며, ASRock은 이 버전이 PBO 관련 근본 원인을 수정했다고 주장했다. 이후 BIOS 3.30과 3.40도 CPU 작동 안정성 향상을 목표로 배포되었다.

그러나 이번 사례는 ASRock이 권장한 BIOS 3.25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CPU 손상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ASRock이 주장하는 PBO 문제 수정이 실제로 효과가 없거나, 문제의 근본 원인이 다른 곳에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더욱이 사용자가 BIOS 3.30이나 3.40으로 업데이트하지 않은 이유는 새로운 버전들에서도 문제가 보고되었기 때문이다.

BIOS 버전 출시 시기 주요 개선사항 실제 효과
3.25 2024년 5월 메모리 호환성, 시스템 안정성 CPU 손상 지속 발생
3.30 2024년 후반 CPU 작동 안정성 향상 문제 보고 계속됨
3.40 2024년 후반 추가 안정성 개선 효과 불명확

이러한 상황은 단순한 펌웨어 업데이트로는 해결할 수 없는 하드웨어 레벨의 설계 결함이나 전력 공급 문제가 존재할 가능성을 높인다. ASRock은 계속해서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 사용자 경험은 이와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대처 방안

Ryzen 9800X3D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들은 메인보드 선택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현재까지의 사례들을 종합하면 ASRock 800 시리즈 메인보드, 특히 X870 모델들은 피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미 ASRock 메인보드를 구매한 사용자라면 즉시 다른 제조사의 메인보드로 교체하는 것을 강력히 권장한다.

CPU가 이미 손상된 경우 AMD의 RMA 프로세스를 통해 교체를 받을 수 있지만, 같은 메인보드를 계속 사용한다면 교체받은 CPU도 동일한 운명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 이번 사례의 사용자처럼 두 번째 CPU까지 손상되면 추가 RMA가 거부될 수 있으며, 상당한 금전적 손실을 입을 수 있다.

안전한 대안으로는 ASUS, MSI, Gigabyte 등 다른 주요 메인보드 제조사의 X870 또는 B850 모델들을 고려할 수 있다. 이들 제조사의 메인보드에서는 아직까지 Ryzen 9800X3D 손상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다. 추가 비용이 들더라도 CPU를 보호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경제적이다.

Gamers Nexus의 Steve Burke는 이번 사용자의 손상된 CPU 2개와 메인보드를 구매해 심층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드웨어 커뮤니티는 이 분석 결과가 문제의 근본 원인을 밝혀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ASRock 메인보드를 사용 중이라면 시스템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CPU 온도와 전압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비정상적인 전압 스파이크나 과도한 온도 상승이 감지되면 즉시 시스템을 종료하고 메인보드 교체를 고려해야 한다.

 

ASRock 메인보드에서 발생하는 Ryzen 9800X3D 손상 사례는 단순한 개별 불량이 아닌 체계적인 문제로 보인다. 같은 메인보드에서 교체 CPU까지 손상되는 패턴은 하드웨어 설계나 전력 공급 시스템에 근본적인 결함이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ASRock의 BIOS 업데이트와 문제 해결 주장에도 불구하고 사고는 계속 발생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ASRock 800 시리즈 메인보드 구매를 신중히 재고해야 하며, 이미 구매한 경우 다른 제조사의 메인보드로 교체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선택이다. 고가의 Ryzen 9800X3D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검증된 메인보드를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Gamers Nexus의 심층 분석 결과가 나올 때까지 ASRock 메인보드 사용자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하드웨어 호환성 문제는 사용자의 책임이 아니며, 제조사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 ASRock은 이 문제를 투명하게 인정하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야 할 시점이다.

참고
Mingg`s Diary
밍구
공부 목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