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이 사용하고 계신 브라우저는 HTML5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몇몇 요소가 제대로 보이도록 JScript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의 브라우저 설정에서 스크립트 기능이 꺼져있으므로, 현재 페이지를 제대로 확인하시려면 스크립트 기능을 켜주셔야 합니다. SEO - 04편 - 온페이지 SEO

SEO – 04편 – 온페이지 SEO

2개월전 작성
온페이지 SEO Thumbnail
온페이지 SEO Thumbnail

온페이지 SEO

온페이지 SEO 최적화는 웹사이트 내에서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한 모든 작업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온페이지 SEO 전략은 검색 엔진 결과에서의 가시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온페이지 SEO 최적화 전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목차

  1. 키워드 배치
    • H1 태그에 메인 키워드를 넣고 자연스럽게 읽히도록 작성한다.
    • 첫 번째 문단에 주요 키워드를 넣고 문맥에 맞게 배치한다.
    • H2, H3 태그에도 관련 키워드를 사용하여 콘텐츠 구조를 명확히 한다.
    • 이미지를 설명하는 ALT 태그에 키워드를 포함하여 이미지 검색 최적화를 도모한다.

  2. 글 제목 및 메타 설명
    • 글 제목
      • 제목은 50-60자 길이로 검색 결과에 잘 표시되도록 한다.
      • 제목에 메인 키워드를 배치하여 검색 엔진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 클릭을 유도할 수 있는 후킹 문구(예: “이 방법으로 쉽게 해결하세요!”, “오늘만 할인!”, “놓치지 마세요!”, “비밀 공개!”)를 사용한다.
    • 메타 설명
      • 페이지 내용을 150-160자 이내로 요약한다.
      • 메인 키워드를 자연스럽게 포함시키고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정보를 담는다.
      • “지금 확인하세요!”, “더 알아보세요!”와 같은 행동 유도 문구를 사용하여 클릭률을 높인다.

  3. 콘텐츠 품질
  4. 가치 있는 콘텐츠

    •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고 깊이 있게 제공한다.
    • 주제에 대해 정의, 중요성, 최적화 방법 등을 상세히 설명하고 최신 정보를 유지한다.
    •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인용하여 콘텐츠의 신뢰성을 높인다.

    콘텐츠 형식

    • 글, 이미지, 비디오, 인포그래픽 등 다양한 형식을 사용한다.
    • 짧은 문단과 리스트를 사용하고, 소제목을 활용하여 가독성을 높인다.

    콘텐츠 길이

    • 최소 길이
      • 기본적으로 300자 이상의 콘텐츠는 검색 엔진이 페이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최적의 길이
      • 1,000자에서 2,500자 정도의 콘텐츠가 SEO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 HTML 태그 포함 여부
      • HTML, CSS, JavaScript 코드는 일반적으로 콘텐츠의 글자 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 검색 엔진은 실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텍스트를 기준으로 평가하기 때문이다.
      • 그러나,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텍스트 중 메타 설명, 제목 태그, 이미지의 ALT 태그, 비디오 설명이나 캡션은 글자수에 포함하지 않는다.

  5. URL 최적화
    • URL은 페이지 내용을 반영해야 하고 메인 키워드를 포함해야 한다.
      예: https://maz.kr/study/front-end/seo-04편-온페이지-seo/
    • 불필요한 문자를 제거하고 가능하면 짧은 URL을 유지한다.

  6. 내부 링크
    • 관련된 다른 페이지의 링크를 추가해서 사용자가 더 많은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 링크 텍스트에 키워드를 넣고 검색 엔진이 링크의 내용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7. 스키마 마크업
  8. 스키마 마크업은 웹페이지에서 정보를 구조화하기 위한 특별한 마크업 언어로 주로 JSON-LD, Microdata, RDFa 형식으로 작성된다.

    이 마크업은 Schema.org에서 정의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콘텐츠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한다.

    JSON-LD 방식으로 이 페이지의 스키마 마크업을 작성해보자.

    <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Article",
    "url": "https://maz.kr/study/front-end/seo-04편-온페이지-seo/",
    "headline": "SEO - 04편 - 온페이지 SEO",
    "author": {
    "@type": "Person",
    "name": "밍구"
    },
    "datePublished": "2025-03-21T11:27:00Z",
    "image": "https://maz.kr/wp-content/uploads/2025/02/seo-duplicated-page-thumbnail.webp",
    "articleBody": "온페이지 SEO 최적화는 웹사이트 내에서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한 모든 작업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온페이지 SEO 전략은 검색 엔진 결과에서 가시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온페이지 SEO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script>
    사용된 코드 설명
    <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JSON-LD 형식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크립트 블록을 정의하는 태그
    “@context”
    :
    스키마의 컨텍스트를 지정한다.
    “@type”
    :
    데이터의 유형을 지정한다.
    “url”
    :
    URL을 지정한다.
    “headline”
    :
    포스트의 제목을 지정한다.
    “name”
    :
    저자 이름을 지정한다.
    “datePublished”
    :
    발행일을 ISO 8601 형식으로 UTC 시간대로 기입하여 지정한다.
    검색 엔진에서 UTC 시간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이다.
    “image”
    :
    썸네일 URL을 지정한다.
    “articleBody”
    :
    본문을 지정한다.

    만약, 워드프레스에서 매 글마다 스키마 마크업이 자동으로 들어가는 것을 원하는 경우 PHP를 사용하여 스키마 마크업을 작성한다.

    <?php
    $current_url = esc_url(home_url(add_query_arg(array(), $wp->request)));
    $title = get_the_title();
    $author = get_the_author();
    $published_date = get_the_date("c");
    $utc_date = gmdate("Y-m-d\TH:i:s\Z", strtotime($published_date));
    $thumbnail_url = get_the_post_thumbnail_url(get_the_ID(), "full");
    $meta_description = get_post_meta(get_the_ID(), "_yoast_wpseo_metadesc", true);
    ?>
    <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Article",
    "url": "<?php echo $current_url; ?>",
    "headline": "<?php echo $title; ?>",
    "author": {
    "@type": "Person",
    "name": "<?php echo $author; ?>"
    },
    "datePublished": "<?php echo $utc_date; ?>",
    "image": "<?php echo $thumbnail_url; ?>",
    "articleBody": "<?php echo $meta_description; ?>"
    }
    </script>

  9. 사용자 경험(UX)
  10.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은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느끼는 전반적인 경험을 의미한다.
    웹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물리적 제품 등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다.

    UX는 여러 요소로 구성되며, 주요 요소들을 알아보자.

    요소 설명
    사용성(Usability)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얼마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직관적인 디자인, 명확한 내비게이션, 빠른 로딩 시간 등이 포함된다.
    접근성(Accessibility) 모든 사용자, 특히 장애인을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웹 접근성 표준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용성(Utility) 제품이나 서비스가 사용자의 필요를 충족하는 정도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나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신뢰성(Reliability) 제품이나 서비스가 일관되게 작동하고 사용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어야 한다. 오류가 적고 안정성이 높아야 한다.
    감정적 반응(Emotional Response)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느끼는 감정이다. 긍정적인 감정을 유도하는 디자인 요소와 사용자 인터랙션이 중요하다.
    디자인(Design) 시각적 요소와 레이아웃은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매력적인 디자인은 사용자의 관심을 끌고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피드백(Feedback) 사용자가 행동을 취했을 때 시스템이 제공하는 피드백이다. 버튼 클릭 후 반응이나 로딩 상태 표시 등이 포함된다.

    좋은 사용자 경험은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쉽게 이해하고 즐겁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궁극적으로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재사용률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한다.
    UX 디자인 과정에서는 사용자 조사, 프로토타입 제작, 사용자 테스트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듯, 온페이지 SEO 최적화는 검색 엔진에서의 가시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다.

위의 전략들을 체계적으로 적용하여 웹사이트의 성과를 극대화 해보자.

Mingg`s Diary
밍구
공부 목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