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ython 숫자형 데이터 타입 가이드
Python에서 숫자형 데이터는 프로그래밍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데이터 타입이다. Python은 세 가지 주요 숫자형 타입을 제공하며, 각각 고유한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다.
Python 숫자형 타입 종류
Python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숫자형 타입을 지원한다.
- int (정수) – 양수, 음수, 0을 포함하는 소수점이 없는 정수
- float (부동소수점) – 소수점을 포함하는 실수
- complex (복소수) – 실수부와 허수부로 구성된 복소수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 Python은 자동으로 적절한 숫자형 타입을 결정한다.
x = 1
y = 2.8
z = 1j
print(type(x))
print(type(y))
print(type(z))
정수형 (Int)
정수형은 소수점이 없는 숫자로, 양수와 음수, 그리고 0을 포함한다. 정수의 길이에는 제한이 없으며,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 얼마나 길어도 상관없다.
x = 1
y = 35656222554887711
z = -3255522
print(type(x))
print(type(y))
print(type(z))
부동소수점형 (Float)
부동소수점형은 소수점을 포함하는 숫자로, 양수와 음수 모두 가능하다. 또한 과학적 표기법을 사용하여 매우 큰 수나 작은 수를 표현할 수 있다.
x = 1.10
y = 1.0
z = -35.59
print(type(x))
print(type(y))
print(type(z))
부동소수점형은 과학적 표기법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e” 또는 “E”를 사용하여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
x = 35e3
y = 12E4
z = -87.7e100
print(type(x))
print(type(y))
print(type(z))
복소수형 (Complex)
복소수는 실수부와 허수부로 구성되며, 허수부는 “j”로 표시한다. 복소수는 수학적 계산이나 과학 계산에서 자주 사용된다.
x = 3+5j
y = 5j
z = -5j
print(type(x))
print(type(y))
print(type(z))
💡 복소수 표기법:
• 허수 단위는 “i” 대신 “j”를 사용한다
• 실수부가 없는 경우에도 허수부만으로 복소수가 된다
• 복소수 연산은 Python이 자동으로 처리한다
타입 변환
Python에서는 int(), float(), complex() 함수를 사용하여 한 숫자형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다.
x = 1
y = 2.8
z = 1j
a = float(x)
b = int(y)
c = complex(x)
print(a)
print(b)
print(c)
print(type(a))
print(type(b))
print(type(c))
💡 타입 변환 주의사항:
• 복소수를 다른 숫자형으로 변환할 수 없다
• float을 int로 변환하면 소수점 이하는 버려진다
• 문자열이 숫자 형태라면 숫자형으로 변환 가능하다
랜덤 숫자 생성
Python에는 내장된 random() 함수가 없지만, random 모듈을 임포트하여 랜덤 숫자를 생성할 수 있다.
import random
print(random.randrange(1, 10))
숫자형 타입 비교표
타입 | 설명 | 예시 | 특징 |
---|---|---|---|
int | 정수 | 1, -5, 0 | 길이 제한 없음 |
float | 부동소수점 | 1.5, -3.14, 2e10 | 과학적 표기법 지원 |
complex | 복소수 | 3+5j, -2j | 실수부 + 허수부 |
숫자형 데이터 활용 팁
Python의 숫자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 타입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수형은 카운팅이나 인덱싱에, 부동소수점형은 정밀한 계산에, 복소수형은 과학적 계산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Python의 자동 타입 결정 기능을 활용하면 별도의 타입 선언 없이도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타입 변환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타입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수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