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드프레스 를 사용하면서 도메인을 변경 했지만 접속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도메인 변경 후 접속이 안되는 문제와 그 해결 방법을 알아보자.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도메인을 변경한 후 접속이 되지 않는 주된 원인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URL이 변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워드프레스 는 설정된 도메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도메인 을 변경 하면 이에 맞춰 설정을 업데이트해야 한다.
그리고 .htaccess 파일이나 캐시 문제로 인해 접속이 안되는 경우도 있다.
URL 업데이트 방법
도메인 변경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URL을 업데이트 해야 한다.
아래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으로 URL을 업데이트하면 된다.
-
phpMyAdmin 접속
- 왼쪽 사이드바에서 워드프레스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
- 상단 메뉴에서 [SQL]
- SQL 쿼리 입력
UPDATE wp_options SET option_value = '새로운 사이트 주소' WHERE option_name = 'home' OR option_name = 'siteurl';
-
[실행]
- 쿼리가 성공적으로 실행되었는지 확인
위의 SQL 쿼리를 사용하여 ‘home’과 ‘siteurl’ 값을 새로운 사이트 주소로 변경한다.
-
phpMyAdmin 접속
-
오른쪽 화면에서 [wp_options] 테이블
-
siteurl, home – 더블 클릭 » 새로운 사이트 주소 입력
-
만약 위의 방법으로 안된다면, siteurl, home – [연필 모양 버튼] » option_value – 새로운 사이트 주소 입력
define('WP_HOME', '새로운 사이트 주소');
define('WP_SITEURL', '새로운 사이트 주소');
.htaccess 파일 점검
도메인 변경 후 .htaccess 파일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 BEGIN WordPress <IfModule mod_rewrite.c> RewriteEngine On RewriteBase / RewriteRule ^index\.php$ - [L] RewriteCond %{REQUEST_FILENAME} !-f RewriteCond %{REQUEST_FILENAME} !-d RewriteRule . /index.php [L] </IfModule> # END WordPress
캐시 플러그인 비활성화
워드프레스에서 사용하는 캐시 플러그인이 있을 경우 도메인 변경 후에는 반드시 비활성화해야 한다.
캐시가 남아있으면 새로운 사이트 주소로 접근이 불가능할 수 있다.
SSL 인증서 설정 확인
새로운 사이트 주소에 SSL 인증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HTTPS로 사이트에 접속하려면 SSL 인증서가 필수적이다.
인증서가 없으면 보안 경고가 발생할 수 있다.
결론
워드프레스 도메인 변경 후 접속이 되지 않는 문제는 대부분 데이터베이스의 URL 업데이트로 해결이 된다.
그렇지 않다면 .htaccess 점검, 캐시 플러그인 비활성화, SSL 인증서 설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